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홋카이도 제10구

덤프버전 :

||
파일:shuinsen_Hokkaido10.svg
선거인 수280,307명 (2022)
상위 도도부현홋카이도
하위 행정구역소라치 종합진흥국, 루모이 진흥국
국회의원

이나쓰 히사시




1. 개요[편집]


홋카이도유바리시 등의 소라치 종합진흥국, 루모이시 등의 루모이 진흥국의 하위 행정구역들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공명당 소속 이나쓰 히사시.


2. 상세[편집]


원래는 ‘민주왕국’이라고 불리는 선거구 중 하나였을 정도로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으나, 자민당의 추천을 받은 공명당 이나쓰 히사시 후보가 46회 총선을 기점으로 당선된 이후로는 민주당 지지세가 약해졌다. 그러나 48회 총선 당시 공명당 이나쓰 히사시 의원과 입헌민주당 가미야 히로시 후보간의 표차가 불과 513표 밖에 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민주당 지지세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가미야 히로시 후보는 이때 석폐율 제도를 통해 초선 의원이 되었다. 49회 총선 결과에서는 공명당과 입헌민주당의 득표율 격차가 다시 벌어졌다.

탄광의 쇠락 이후 지자체가 파산을 선언한 것으로 유명한 유바리시가 이 지역구에 포함되어 있다.

현직 의원은 이나쓰 히사시는 2009년 제 45회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처음 당선되었다. 2012년 제 46회 총선에서는 지역구에 도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을 역임 중이던 고다이라 다다마사 의원을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고다이라 전 의원은 은퇴하고 자신의 비서였던 가미야 히로시에게 지역 기반을 넘겨주었다. 하지만 정작 48회 총선에서 고다이라 전 의원은 가미야 후보가 희망의 당이 아니라 진보적 색채가 더 강한 입헌민주당을 선택한 것에 항의하는 의미로 이나쓰 후보를 지지했다. 아무래도 고다이라가 보수야당인 민사당 출신이라[1] 입헌민주당을 싫어한 것으로 보인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고다이라 다다마사100,489표1위


49.8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쇼이치72,641표2위


36.0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사키 이사오28,609표3위


14.18%낙선
유효표 수201,739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다이라 다다마사106,221표1위


48.2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마시타 다카후미87,196표2위


39.5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나카 유미오26,875표3위


12.20%낙선
유효표 수220,292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지청 관내,
루모이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다이라 다다마사121,516표1위


49.2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마시타 다카후미106,560표2위


43.2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니 다테오18,456표3위


7.49%낙선
유효표 수246,5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지청 관내,
루모이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다이라 다다마사109,422표1위


40.87%당선
야마시타 다카후미78,604표2위

무소속

29.36%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지마 유카리62,100표3위


23.19%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니 다테오17,617표4위


6.58%낙선
유효표 수267,743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지청 관내,
루모이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다이라 다다마사159,473표1위


62.5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지마 유카리89,287표2위


35.0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오바야시 마코토6,114표3위
2.40%낙선
유효표 수254,874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지청 관내,
루모이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이나쓰 히사시87,930표1위
[2]43.0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다이라 다다마사62,998표2위
[3]30.87%낙선
파일:신당대지 로고1.png아사노 다카히로39,818표3위
[4]19.5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무라 겐지13,320표4위
6.53%낙선
유효표 수204,066표투표율
64.68%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가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루모이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호로카나이초, 호로노베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이나쓰 히사시86,722표1위
[5]48.5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미야 히로시71,219표2위
39.8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무라 겐지20,803표3위
11.64%낙선
유효표 수178,744표투표율
58.85%
선거인 수317,99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카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루모이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이나쓰 히사시96,795표1위
[6]50.1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가미야 히로시96,282표2위
49.87%비례당선
유효표 수193,077표투표율
65.16%
선거인 수305,976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0구
유바리시, 이와미자와시, 루모이시, 비바이시,
아시베츠시, 아카비라시, 미카사시, 타키카와시,
스나가와시, 우타시나이시, 후카가와시,
소라치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루모이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이나쓰 히사시96,843표1위
[7]53.9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가미야 히로시82,718표2위
[8]46.07%비례당선
유효표 수179,561표투표율
64.80%
선거인 수284,648인

공명당 이나쓰 히사시 의원과, 지난 선거에서 513표 차이로 아깝게 지역구에서 패배했지만 석패율 제도를 통해 처음 당선된 입헌민주당 가미야 히로시 의원이 재대결한다.

공명당과 입헌민주당을 제외한 다른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은 출마하지 않았다. 연립여당인 공명당 후보가 출마하기 때문에, 자민당도 후보를 공천하지 않고 공명당 후보를 지원한다. 따라서 지난 선거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 번 공명당과 입헌민주당의 치열한 1대1 승부가 펼쳐진다.

개표 결과 지난 선거보다 더 큰 표차로 이나쓰 히사시 후보가 승리했으며 가미야 히로시 후보는 이번에도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승리의 가장 큰 요인은, 유바리시 시장을 거쳐 홋카이도지사로 재직중인 스즈키 나오미치 지사의 높은 인기이다. 스즈키 지사는 중앙정부와 몇몇 현들의 미적지근한 코로나 대응과 달리, 휴교령을 재빨리 내리는 등 몇몇 선제적 조치를 과감히 실행해 큰 인기를 거두었다. 특히 유바리시가 포함된 10구에서의 인기가 높다. 이나쓰 후보는 스즈키와의 대담회를 개최하고 이후 스즈키의 지원유세까지 받는 등, 자신의 선거를 철저히 스즈키 나오미치 마케팅으로 치뤘다. 물론 나이는 스즈키 지사보다 이나쓰 의원이 23살이나 많고 정치 활동도 이나쓰가 스즈키보다 훨씬 오래 해왔지만, 대중적 인지도나 인기로 보면 이제 이나쓰 의원은 스즈키 지사의 심복으로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스즈키 지사와 대담중인 이나쓰 히사시 후보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6선에 도전하는 공명당 이나쓰 히사시 의원과 3선에 도전하는 입헌민주당 가미야 히로시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1] 원래 1994년 민사당 해산 당시 신진당에도 참가했지만, 창가학회 세력이 본인의 후원회에 개입한 것에 반발해서 1995년 9월 신진당을 탈당하고 신당 사키가케에 입당했고, 이후 민주당의 결성에도 참가했다.[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 추천[7] , 추천[8] 홋카이도 연합 지지